빠른상담신청
  • 성함
  • 이메일
  • 연락처
  • 제목
신앙을 지키며 순교한 역사를 간직한 성지
성지이야기
김대건 신부님 집안의 약사
  • 1846
  • 10
    26일
    이민식(빈첸시오)이 시신을 미리내에 안장
    09
    15일
    헌종(13년)이 중신들의 뜻을 묻고 역률죄로 사형 선고
    16일
    서울 새남터에서 군문효수형으로 26세에 순교
    08
    26일
    페레올 주교께 보내는 하직 편지 보냄. 이 무렵 세계지도와 지리개설서 작성
    29일
    회유문 “교우들 보아라” 작성
    07
    30일
    스승 신부들과 동료 최양업에게 보내는 마지막 서한 작성
    06
    1일
    순위도 등산진으로 귀환
    5일
    관헌들에게 체포됨
    9일
    감영으로 압송
    10일
    해주 감영에서 4차례 문초
    21일
    서울 포청으로 이송
    22일
    이때부터 40여 차례 공초
    05
    14일
    페레올 주교의 지시에 따라 선교사 서해 입국로 개척을 위해 교우들과 함께 마포 출발
    25일
    연평도 도착
    27일
    순위도(巡威島) 등산진(登山鎭) 도착
    29일
    백령도에서 중국 어선과 접촉하고 편지와 지도 탁송
    04
    13일
    은이 공소에서 미사 봉헌 후 서울로 출발
  • 1845
  • 11
    11월~12월
    서울 및 은이 공소 순방
    10
    12일
    강경 황산포 나바위에 도착
    09
    28일
    제주도 인근 섬에 표착(4차 입국)
    08
    17일
    상해 금가항(金家港) 성당에서 사제 수품
    24일
    상해에서 30리 떨어진 만당(萬堂) 성당에서 첫미사
    31일
    페레올 주교, 다블뤼 신부, 조선 교우들과 함께 라파엘(Raohel)호 승선 후 상해 출발
    06
    4일
    중국 상해 도착
    05
    28일
    중국 오송 도착
    04
    30일
    현석문(가롤로) 등 11명 조선 교우들과 함께 제물포 출발
    03
    조선 예비 신학생 선발·지도
    02
    15일간 중병
    01
    1일
    중국 봉황성 변문으로 나가 조선 교우와 함께 입국(3차 입국)
    15일
    서울 도착. 돌우물골(石井洞)에 유숙
  • 1844
  • 12
    25일
    삭발례(削髮禮)에서부터 부제품(副祭品)까지 받음
    04
    만주 소팔가자로 귀환하여 신학 수업
    03
    8일
    중국 훈춘을 거쳐 조선 입국(2차 입국). 조선 경원(慶源)에서 조선교우 상봉
    02
    4일
    페레올 주교의 지시에 따라 북방(두만강쪽) 입국로 탐색을 위하여 중국 훈춘(琿春)으로 출발(4차 입국탐색)
  • 1843
  • 12
    31일
    중국 개주(蓋州)의 양관(陽關)에서 고 페레올(Ferréol) 주교 성성식 참석 후 소팔가자로 귀환
    09
    중국 측 변문으로 나가 조선 교우와 접촉(3차 입국탐색) 후 소팔가자로 귀환
    04
    만주 소팔가자로 가서 최양업(토마)과 함께 신학 수업 계속
    03
    중국 측 변문으로 나가 조선 교구와 접촉한 후 백가점으로 귀환(2차 입국탐색)
    01
    1일
    중국 측 변문에 도착
    6일
    요동 백가점에 도착
  • 1842
  • 12
    23일
    봉황성(鳳凰城)의 중국 측 변문으로 출발(1차 입국탐색)
    27일
    중국 측 변문 인근에서 조선 교회 밀사 김프란치스코 상봉
    29일
    중국 변문을 출발하여 조선 변문이 있는 의주를 통하여 입국(1차 입국)
    31일
    압록강을 건너 중국 측 변문으로 출발
    10
    2일
    중국 상해 출발
    23일
    중국 요동 해안 도착
    25일
    요동에서 하선
    26일
    요동 백가점(白家店) 도착. 최양업은 매스트르 신부와 함께 만주 소팔가자(小八家子)로 출발
    09
    11일
    중국 오송 도착
    16일
    상해 베지 주교 댁 도착
    08
    23일
    프랑스 파브리트호를 타고 온 최양업(토마)과 만남
    29일
    중국 남경(南京) 도착. 에리곤호 하선. 강남교구장 베지의 도움으로 최양업(토마)과 함께 귀국길 출발
    07
    7월 초
    에리곤호 중국 오송(吳淞) 도착
    06
    27일
    에리곤호 양자강 하구 도착
    03
    10일
    에리곤호 대만을 향하여 마닐라 출발
    27일
    에리곤호 대만을 경유하여 양자강 앞바다 주산도에 입항
    02
    15일
    김대건(안드레아) 매스트르(Maistre) 신부와 함께 조선 입국 위하여 프랑스 세실 함장의 에리곤호 승선
    28일
    에리곤호 마닐라 도착
  • 1841
  • 11
    김대건(안드레아), 최양업(토마) 철학과정 이수 후 신학과정 입문
  • 1840
  • 01
    9일
    당고모 김데레사 포청 옥에서 이아가다와 함께 교수 순교
  • 1839
  • 11
    김대건(안드레아), 최양업(토마) 마카오로 귀환
    09
    26일
    기해박해로 부친 김제준(이냐시오) 서울 서소문 형장에서 참수 순교
    07
    19일
    당고모 김데레사 정정혜(엘리사벳) 가족과 함께 체포 후 포청에서 고문
    7월(음)
    기해박해로 부친 김제준(이냐시오) 사위 곽씨를 앞세운 김순성의 밀고로 체포. 서울 포청과 의금부에서 고문 취조
    04
    6일
    마카오 재밀란으로 마닐라 도미니꼬 수도원으로 피신
  • 1838
  • 11
    27일
    동료 최방제(F.사베리오) 열병으로 사망
    년초에 대고모 김데레사 정정혜(엘리사벳)와 함께 조선 제2대 교구장 앵베르(Imbert) 범 주교 처소 돌봄
    겨울에 김대건(안드레아), 최양업(토마), 최방제(F.사베리오) 마카오로 귀환
  • 1837
  • 08
    마카오 민란으로 필리핀 마닐라로 피신
    06
    7일
    마카오에 도착. 신학교 수업 시작
  • 1836
  • 12
    2일
    세 명의 신학생 모방 신부 앞에서 성서에 손을 얹고 순명과 봉사 서약
    3일
    정하상(바오로), 조신철(가롤로)의 인도를 받아 마카오로 유학 가기 위하여 서울을 떠나 의주 변문으로 출발
    28일
    조선 입국을 위하여 요동에 대기 중이던 샤스탕(Chastant) 신부 댁 도착
    07
    11일
    앞서 선발된 최양업(토마), 최방제(F.사베리오)와 서울 모방 산부님 댁에서 합류
    04
    김대건 경기도 용인 은이 공소에서 모방 신부에게 영세 후 신학생으로 선발
    년초에 부친 김제준(이냐시오) 서울 정하상(바오로) 집에 유숙하는 모방(Maubant) 신부를 찾고 영세
  • 1833
  • 1833년 말
    당고모 김데레사 정정혜(엘리사벳)와 함께 중국인 유방제(파치피코) 신부 처소 돌봄
  • 1830
  • 1830년 이전에 경기도 용인 산중 한덕동을 거쳐 골배마실에 정착
    조부 김택현 선종
  • 1827
  • ~1830년
    조부 김택현과 부친 김제준은 박해를 피하여 솔뫼를 떠나 서울 청파로 이사
  • 1824
  • 작은 종조부 김한현(안드레아)의 딸 김데레사의 남편 손연욱(요셉) 해미에서 순교
주요정보링크
  • 전담사제홍성민 미카엘 신부
  • 주소충청남도 당진시 우강면 솔뫼로 132
  • 전화번호041-362-5021
  • 이메일solmoe1821@hanmail.net